![]() |
회전근개파열은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견관절 질환이다.
회전근개란 견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과 인대의 집합체를 말한다.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극상근, 근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4개의 힘줄을 말한다. 4개의 힘줄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파열되어 팔과 어깨에 통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을 회전근개파열이라 하는데, 팔을 머리 위로 올려 어깨에 힘을 주는 동작을 할 때 삐걱거리는 느낌, 저녁이 되면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 물건을 잘 들지 못하는 증상을 볼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 환자 가운데 일부는 어깨충돌증후군이 악화해 발병하기도 한다. 처음에 어깨충돌증후군 발병으로 시작해 상태가 악화하여 회전근개파열로 이어진 것이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를 처마처럼 덮고 있는 견봉과 팔뼈(상완골) 사이가 좁아져 나타나는 어깨 질환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팔을 들어 올리면 충돌과 마찰이 발생해 극심한 어깨 통증을 초래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하면 결국 회전근개까지 파열되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킨다.
어깨충돌증후군이 회전근개파열의 발병 원인이라면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뼈의 마찰 및 충돌 문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주사 치료나 약물로는 개선하기 어렵다. 즉, 회전근개를 정상화시켜도 견봉과 상완골은 계속 충돌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손상이 재차 나타날 수밖에 없다.
더욱 큰 문제는 회전근개파열 환자들 대부분이 초기에는 증상을 내버려두는 경우가 많다. 질환 초기에는 팔을 회전하거나 옆으로 드는 등의 특정 움직임에만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기 진단 후 가벼운 증상으로 여겨 약물 복용 및 주사 치료 등 비수술 요법만 반복 시행한다. 그마저도 중단 후 일상으로 복귀해 재발 때문에 통증이 만성화되거나 어깨 힘이 확연히 떨어진 것을 체감하고 치료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회전근개파열은 자연치유가 되지 않는 질환으로 통증이 심하면 반드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어깨 힘줄이 파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밀 진단을 통해 병변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어깨 힘줄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맞춤형 시술 방법이 적용돼야 통증 재발 없는 근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근개 어깨 힘줄이 완전히 파열되기 전 단계는 주사치료와 재활운동으로도 치료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권하는데 보통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파열 된 힘줄을 개개인의 상태에 맞게 봉합하는 치료를 진행한다.
이때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견봉 아래 공간을 인위적으로 넓히는 견봉성형술을 고려할 수 있다. 견봉과 상완골의 직접적인 충돌을 먼저 개선한 다음 근육 및 인대 손상 치료에 나서는 것이 올바른 순서다. 수술 후 운동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을 병행하는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