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수다] 맛난 추억이 있었다

하루 / 기사승인 : 2023-04-20 09:13:23
  • -
  • +
  • 인쇄
“과거는 돌아오지 않는다”

필자 하루의 ‘하루수다’는 일상생활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하루의 수다를 푸는 형식으로 올리는 글입니다. 특히 하루는 일본어로 ‘봄’이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필자 하루와 함께 일상생활의 수다를 풀어볼까 합니다. (편집자의 주)

  출처=하루

 

어렸을 때 소풍 가는 날은 최고로 신나는 일이었다. 학교를 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건 곧 숙제를 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얘기. 그보다 더 들뜨게 한 건 일 년에 딱 한 번, 엄마의 김밥을 맛볼 수 있어서다.

소풍의 백미는 모름지기 김밥이 아니겠는가?

살림살이가 녹록치 않은 농촌 집안인지라 김밥은 꽤나 사치스런 음식 중에 하나였다. 재료도 변변치 않아 시금치, 달걀, 단무지, 당근에 당시로서는 꽤 비싼 햄이나 소시지가 밥 알 사이에 자리를 잡고 김에 똘똘 말려 있는, 말 그대로 평범한 김밥이었다. 그런데 아직 그 김밥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세상을 살면서 아직 한번도 그때의 맛을 뛰어넘는 김밥은 없었다. 고소하고 향긋한 참기름 냄새와 알알이 박힌 참깨가 풍미를 더 하긴 해도 뭐가 막 대단한 음식은 아니었는데. 그런데도 그 때 그 김밥의 맛은 어디에도 없다.

아무리 좋은 재료를 써도 안된다. 큰 맘 먹고 가장 신선한 재료를 사서 정성껏 김밥을 말아도 그 맛이 안난다. 유명한 가게의 김밥을 다 주워 먹어도 분명 맛은 있는데 그 맛이 아니다. 뭔가 가장 중요한 재료 하나가 빠져 있는 느낌이었다. 어렴풋한 기억으로만 존재하는 옛날 김밥 맛이지만 잊을 수 없는 뭔가가 분명 있었는데. 어째서 그 맛이 안나는 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렇다고 옛날 그 김밥 맛이 온전히 떠오르는 것도 아니었다. 그걸 뭐라 불러야 할까? 추억이라고 해야할까? 아니면 엄마의 손맛이라고 해야할까? 독특하게 미각을 자극했던 감칠맛은 더이상 찾을 수가 없게 됐다.

라면도 비슷하다. 고등학교 때 자율학습 들어가기 전 매점에 가서 후다닥 해치웠던 천 원짜리 라면의 맛을 아직 잊지 못한다. 물과 면, 스프만 넣고 끓인 라면인데, 그 흔한 달걀도 풀어 넣지 않았는데 지금껏 어떤 라면을 먹어도 그 맛이 나지 않았다. 소고기 국물 맛의 라면 국물을 한 번에 들이킬 때의 짜릿함을 잊을 수 없다. 시판되고 있는 라면 중에 그 맛을 내는 라면은 없었다. 분명 그때보다 식재료도 좋아지고 기술도 나아졌을텐데 내 입맛이 변한건지 어떤건지 그냥 자극적인 맛만 느껴졌다.

도대체 왜 그럴까? 그 때의 환경과 감정이 지금과 달라서일까? 모 라면회사에서 클래식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옛날 라면 맛을 흉내 낸 적이 있었지만 거기까지였다.

세월이 흐르고 오십 줄을 넘긴 내게 그때 김밥과 라면 맛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식당은 없다. 엄마도 더 이상 김밥을 말지 않는다. 백 년 천 년을 연구해도 그 맛을 재현할 수는 없을거다. 다시 옛날로 돌아가거나 감정의 상태를 되돌리지 않는 이상 불가능한 일이다. 그 맛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니 문득 슬퍼졌다. 그렇지만 지금 내가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기억 속에 차곡차곡 쌓는게 삶을 대하는 자세라 생각했다.

과거는 돌아오지 않는다. 그저 곱씹고 추억할 뿐이다. 물리학자들은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시간은 그저 인간이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들어낸 숫자에 불과할 뿐 단 1초의 시간도 찰나에 이르면 연기처럼 사라질 뿐이다. 난 오늘도 엄마표 김밥의 맛을 찾아 김밥 재료를 담는다. 이번 주말엔 좀 더 정성을 들여 김밥을 말아 볼 요량이다. 그때 그 김밥 맛의 백분의 일이라도 따라 잡을 수 있다면 난 행복할 거 같다. 입 안에 가득 김밥을 넣고 오물오물 시간을 씹어 보련다. 그래, 내게도 맛난 추억이 있었구나. 그저 감사할 뿐이다. 

[저작권자ⓒ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